투자요정

[독서후기] K배터리 레볼루션 (부제 : 2차전지, 에코프로 나만없어?)

잔든진 2023. 6. 6. 16:38
반응형

안녕하세요.

수박씨와 자산가를 꿈꾸는 잔든진입니다.

 

여러분은 2차전지에 투자하여 모두 결실을 수확하셨나요?

저만빼고 모두 2차전지로 돈버는 세상같습니다.(흑흑)

뒤늦게라도 도대체 그 '배터리'라는 분야가 무엇인지 공부하고자 책을 읽었습니다.

 

독서 후기 시작합니다.


K배터리 레볼루션 (저자 박순혁)

 

인터파크 도서

배터리를 이해 못 하면, 세상의 변화를 이해 못 한다. 배터리는 인류 모두가 사활을 걸고 있는 산업이다. 지구 환경문제 해결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자연재해 등의 긴급한 재난 상황에서도 에

book.interpark.com

제가 읽은 책은 박순혁 저자의 'K 배터리 레볼루션'입니다.

미리 말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 2차전지 관련 주식 지금이라도 당장 사야겠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 물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각설하고 전기차시대에 도대체 '2차전지' 이것이 무엇인지 이 책을 통해 배워봅니다.

 

1. 제일 중요한 개념 '에너지밀도'

에너지밀도
= 단위 무게당 혹은 단위 부피당 저장된 에너지의 양
= 배터리 1kg 혹은 배터리 1m^3에 얼만큼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느냐

에너지밀도의 향상 = 배터리 기술의 발전

에너지밀도야 말로 배터리 기술의 궁극적 지향점입니다.

때문에 각 제조사에서 만드는 배터리 종류들의 성능을 비교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에너지밀도' 입니다.

 

한국 - NCM 배터리(리튬이온 배터리의 한 종류로 니켈, 망간, 코발트로 양극재를 만든 배터리) >

K배터리의 주력 제품은 니켈 함량이 90% 수준에 이르는 아래 제품들 입니다.

NCMA(LG엔솔 생산)

NCM9(SK온 생산)

Gen6(삼성SDI 생산)

 

> 에너지 밀도 305 Wh/kg 수준

> 높은 에너지밀도, 싸고, 가볍고, 부피가 작다

> 다만 높은 니켈 함량으로 화재안정성, 수명 저하 문제를 해결해야 함

 

중국 - LFP 배터리(리튬인산철을 사용한 배터리)

> 에너지 밀도 165 Wh/kg 수준

> 낮은 에너지밀도, 비싸고, 무겁고, 부피가 크다

> 화재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특성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각종 화재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함

 

미국 에너지 부는 '배터리 500'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배터리에서 에너지밀도가 핵심 기술입니다.

 

2. '양극재'만 기억하라

2차전지의 4대 소재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입니다.

  1. 전기차의 심장은 배터리, 배터리의 심장은 양극재
  2. 양극재 기술의 높은 진입장벽
  3. 양극재가 배터리 원가의 50% 차지
  4. K 양극재 4대 업체의 90%급 하이니켈은 독보적 경쟁력 소유

양극활물질이 리튬이온을 갖고 있다가 배터리를 충전할 때 음극으로 리튬이온을 제공합니다.

즉, 리튬이온 배터리에어 에너지 저장의 수단이 바로 '리튬'입니다.

이때 어떤 양극활물질의 사용하냐에 따라 리튬이온을 저장할 수 있는 양이 정해집니다.

때문에 에너지밀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는 양극활물질입니다.

양극재 재료는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같은 금속들인데 특히 중요한 것이 '리튬'입니다.

 

'리튬'은 전기차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등에 필요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인 ESS(Energy Storage System : 에너지 저장 장치)에도 꼭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지난 2년간 리튬 가격이 10배 이상 상승하여 양극재 가격도 지속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리튬 가격 상승 > 양극재 가격 상승 > 배터리 가격 상승

 

전기차 배터리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양극재는 NCM(니켈, 코발트, 망간) 입니다.

이 양극재 구성 요소중 값비싼 코발트의 비중을 줄여 만든 양극재를 '하이니켈'이라고 하며, 90% 수준 하이니켈 양극재는 값도 싸고 품질도 뛰어납니다.

저자에 따르면 90% 이상 수준의 하이니켈 양극재를 만들 수 있는 회사는 지금 세계적으로 딱 네군데라고 합니다.

'에코프로비엠, LG화학, 엘앤에프, 포스코케미칼'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은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되어 해외로의 기술 유출이 차단되고 있습니다.

 

3. 싸고 가볍고 부피가 적은 배터리가 결국 좋은 배터리

  1. 하이니켈 양극재
  2. 파우치형 폼팩터
폼팩터란?
제품의 물리적인 외형을 뜻하는 말.
보통 크기, 슬롯 형태 등 컴퓨터 하드웨어의 규격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으나 스마트폰의 외형적 요소를 가리키는 용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네모난 형태의 스마트폰이 접히거나 말리거나 하는 다양한 형채를 말할 때 폼팩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전기차용 배터리의 형태, 폼팩터에는 크게 1) 원통형, 2) 각형, 3) 파우치형이 있다.

파우치형 기술은 '엔솔'과 'SK온'만 채택하고 있다.

파우치형은 외부 보호 구조 없이 순수 기술력으로 화재와 충격에서 안정성을 확보해야하는 대단히 구현하기 어려운 고난도 기술이기 때문. + 각종 IP(지식재산권)를 법적으로 확보해 두었기 때문.


머리가 아프네요..

위 내용은 책의 초반 극히 일부입니다.

 

중반과 후반부에 더 자세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니 2차전지에 대해 공부하실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생각보다 쉽게 기술되어 있고 저자의 개인적 사견이 많이 들어가 있어서 술술 읽힙니다.

 

왜 한국 배터리가 앞으로도 세계시장에서 초격차로 나아갈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한국 만만세

 

그럼 지금이라도 엔솔과 에코프로를 사야하는지 고민하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반응형